본문 바로가기

Perfume

2. [향수,과학혹은예술] 향기의 강도와 부향률/향기의 분류와 표현

(3) 향기의 강도와 부향률

 

①빠팡(Parfume)/퍼퓸(Perfume)

조향사의 창조성을 가장 돋보이게 하는 예술품으로 분류되며 고가이다. 향이 강하기 때문에 조금씩 귀 뒤, 목, 팔목에 포인트로 바른다.

 

②오 드 빠팡(Eae de Parfum)

퍼퓸보다는 향의 농도가 낮지만 향수 본래의 풍부한 향을 오래도록 즐길 수 있다. 스프레이 용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경제적 부담이 덜한 편이다. 향수 마니아들이 선호한다.

 

③오 드 뚜알렛(Eau de Toilette)

도 드 코롱의 가벼움과 향수의 지속성 두 가지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 향수 초보자와 남성들이 선호한다. 가볍게 사용하기 좋다.

 

④오 드 코롱(Eau de Cologne)

향의 농도가 강하지 않아 향수를 처음 사용하는 사람도 부담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가볍고 상쾌한 향취를 가지고 있다. 목욕 후나 운동 후 전신에 사용하기 좋다.

 

⑤샤워 코롱(Shower Cologne)

샤워 후 전신에 사용하여 은은하고 산뜻한 향을 유지해 주고 몸의 악취를 제거해 준다. 강한 향에 거부감을 느끼거나 향수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에게 적당하다.

 

향기의 강도와 부향률

 

 

3. 향의 분류와 표현

 

1) 향의 분류

 

(1) 린네(Linne)의 분류

 

칼 폰 린네(1707-1778)는 식물 명명법을 만들어낸 스웨덴인 식물학자이다. 

향의 느낌은 쾌락적인 순서에 따라서 일곱 가지로 분류하였다.

---좋은 냄새---

① 아로마틱 냄새 : 월계수 등의 향

② 향기로운 냄새 : 꽃향

 

---상쾌하기도, 불쾌하기도 한 향---

③ 암브로시아 냄새 : 사향, 영묘향, 용연향

④ 마늘 냄새 : 양파, 마늘 , 부추

 

---자극적인 향---

⑤ 염소같이 고약한 냄새 : 산양류

 

---불쾌한 향---

⑥ 불쾌한 냄새 : 썩은 고기

⑦ 구역질 나는 냄새 : 구토

 

(2) 즈바르데마케르(Zwaardemaker)의 분류

 

즈바르데마케르(1857-1930)는 린네의 분류를 세분화하고 확장시켰다. 9가지로 향을 분류하였다.

① 에테르 냄새 : 아세톤, 클로로포름, 에테르

② 아로마틱 냄새 : 월계수, 라벤더, 레몬, 멘톨, 장뇌

③ 꽃 냄새 : 백합, 자스민 등의 싱싱한 꽃과 바닐라와 같은 달콤한 향

④ 암브로시아 냄새 : 사향, 영묘향, 용연향

⑤ 마늘 냄새 : 앙파, 마늘, 부추

⑥ 탄 냄새 : 커피, 담배, 나프탈렌, 토스트

⑦ 염소같이 고약한 냄새 : 산양, 치즈. 땀

⑧ 불쾌한 냄새 : 고수, 빈대 같은 벌레, 불쾌취

⑨ 구역질 나는 냄새 : 썩은 고기, 오물. 인돌, 스카톨

 

(3) 림멜(Rimmel)의 분류

 

외젠 림멜(-1887)은 19세기 프랑스 출신으로 비슷한 향의 원료를 같은 그룹으로 묶어서 모두 18가지로 분류하였다.

Almondy : Bitter almond (Laurels, peach kernels, Mirbane)

Amber : Ambergris (Oak moss)

Anise : Aniseed (Badiane, Caraway, Dill, Fennel, Coriander)

Balsamic : Vanilla (Balsam of tolu, Balsam of peru, Benzoin, Styrax, Tonka)

Camphoraceous : Camphor (Rosemary, Patchouli)

Caryophyllaceous : Clove (Carantion, Clove - pink)

Citrine : Lemon (Vergamot, Orangem Cedrat, Limes)

Fruity : Pear (Apple, Pineapple, Quince)

Jasmin : Jasmine (Lilly of the valley)

Lavender : Lavender (Spike, Thyme, Serpolet, Marjoram)

Minty : Peppermint (Spearmint, Balm, Rue, Sage)

Musky : Musk (Civer, Ambrette seed, Musk plant)

Orange flower : Neroli ( Acacia, Syringe, Orange leaves)

Rosaceous : Rose ( Geranium, Sweet briar, Rhodium)

Sandal : Sandalwood (Vetivert, Cedarwood)

Spicy : Cinnamon (Cassia, Mutmeg, Mace, Pimento)

Tuberose : Tuberose( Lily, Jonquil, Narcissus, Hyacinth)

Violet : Violet (Cassie, Orris root, Mignonette)

 

2) 향의 표현

 

(1) 향의 타입에 의한 표현

 

  • Aldehydic : 지방족 aldehyde(-CHO)를 갖는 화합물로 유지나 지방과 같은 향이 있다. 향이 매우 강하고 자극적이기 때문에 소량씩 사용되며 우아한 여성용 향료에 많이 쓰인다.
  • Animalic : 동물성 향료인 무스크, 시벳, 캐스토리움 등의 향기를 표현하기 위해 향수 제조업에 사용하였다. 사향노루, 사향고양이, 비버의 내분비선에서 추출하였다. 불쾌한 냄새이나 희석하여 소량 사용하면 풍부하고 따스한 분위기를 준다.
  • Anisic : 아니스 열매의 향취를 표현한다. 리커리스 과자류는 일반적으로 아니스 열매와 함께 사용되며, 아니스 열매가 리커리스와 같은 맛과 냄새가 난다는 설도 있다. 리커리스는 가볍고 상쾌한 향기가 나며, 추운 날씨에는 추출하기 어려운 향료이다.
  • Balcamic : 식물의 자연스러운 성장 과정의 산물로서 그 조직의 상처에 반응하는 과정에서 나오는 오일성 혹은 수지 물질이다. 보통 바닐라와 같은 달콤하고 따뜻한 느낌을 가지고 있으며, 오리엔탈 계의 향수에는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 Burnt : 증류나 건조할 때 원재료가 과열을 받아 내는 향취이다.
  • Camphorous : 산뜻하며 깨끗한 느낌을 주는 향으로 소나무 향과 비슷하다.
  • Citrus : 상쾌한 감귤계의 향취를 나타내며 달콤하고 산뜻한 느낌을 준다. 대부분 탑 노트에 사용된다.
  • Earthy : 작열한 태양빛으로 달구어진 토양은 비가 올 때 대기의 독특한 향 내음이 가득하게 된다. 이것은 신선함이 가득한 냄새로, 토양이 식물의 근원이며 균류가 결합된 향과 관련이 있음 제시한다.
  • Fecal : 자스민, 투베로즈 등의 흰꽃에 소량 포함되어 있는 인돌의 향취이다. 풍부하고 깊이 있는 꽃 향을 연출해 준다.
  • Floral : 단일 꽃의 향기나 꽃다발의 향기를 뜻한다. 식물의 꽃봉오리가 내뿜는 다양한 꽃 향을 나타낸다.
  • Fruity : 복숭아, 딸기, 사과 바나나, 멜론, 파인애플, 열대 과일 등을 표현한 향기이며, 트렌드가 많이 반영된다. 
  • Green : 잎을 자르거나 비비거나 할 때 느껴지는 향기이다. 풋풋한 향취
  • Herbaceous : 허브 중에서 쑥 냄새와 같이 향이 강하고 약간 자극적인 아로마틱 허브 향이다.
  • Hesperidic : 시트러스 계열의 상쾌한 향조를 말한다.
  • Leathery : 가죽 제품에서 느껴지는 특유의 향으로 보통 스모키한 향취를 가지고 있다. 남성 제품에 주로 사용된다.
  • Marine : 시원하면서 바다를 연상시키는 약간 짠 듯한 향을 가지고 있다.
  • Metallic : 금속을 만진 후 손에 남는 향과 비슷한 쿨하고 깨끗한 느낌이다.
  • Minty : 페퍼민트나 스피아민트의 멘톨향
  • Moss : 마른 이끼 등이 내뿜는 향과 푸른 초목과 숲 속 깊은 곳에서 나오는 향기를 내포한다.
  • Narcoticy : 자스민, 투베로즈 등의 흰꽃이 고농도로 사용되었을 때 느껴지는 진한 꽃향 느낌.
  • Oily : 올리브 오일과 같이 기름진 느낌의 향기
  • Spicy : 향신료에서 주는 자극적이고 따뜻하며 감각적인 느낌의 향취
  • Woody : 백단향이나 삼나무처럼 외래종 나무에서 나오는 은은하고 중후한 나무향으로 오래 지속된다.

 

(2) 향의 특징에 따른 표현

 

  • Balanced : 하나의 성분이 다른 성분을 압도하지 않으며, 조합된 향들이 균형이 잡힌 상태.
  • Diffusive : 방향성 물질이 대기 중에 노출되어 확산되어 그 주위를 향기로 물들이는 것.
  • Dry : 물리적으로 건조한 물체의 느낌이나 주위 환경과 결합하여 건조한 인상을 주는 향기. (파우더리 효과를 주기도 한다.)
  • Flat : 별 다른 특성이나 특징이 없는 향.
  • Fresh : 신선한 자극을 주면서, 생명력을 불어넣는 효과를 주는 향.
  • Harsh : 타임 향과 같이 조화롭지 않고 균형 잡히지 않으며 탁하고 거친 향.
  • Heavy : 자스민 앱솔루트나 일랑일랑의 희석되지 않은 진한 농도의 숨 막힐 듯한 향.
  • Musty : 오래된 책이나 잡지에서 나오는 듯한 오래되고 마른 냄새.
  • Light : 휘발성이 높고 가벼우며 지속성이 짧음.
  • Rich : 자스민 앱솔루트와 같이 풍부한 향.
  • Round : 향료를 조합할 때 밸런스가 맞지 않아 향이 제각각으로 느껴지는 경우, 블랜더를 이용해서 전체 향료가 잘 조화를 이루도록 하는 것.
  • Sharp : 레몬향과 같이 날카롭게 감각을 관통하는 효과.
  • Sweet : 달콤하고 향기로우며 즐거움을 주는 느낌.
  • Smooth : 크리미하며, 부드럽고 부드러운 향기에서 느껴지는 향취.